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중복선택
- NextJS v13
- 항해99추천
- greedy
- 동전 0
- jQuery
- server component
- 프로그래머스
- 백준
- 날씨 api
- db수정
- 탐욕알고리즘
- 배열 메소드
- 서버 컴포넌트
- 그리디
- 숫자를 별점으로
- 카테고리필터
- 항해99후기
- 실전프로젝트
- 클라이언트 컴포넌트
- 알고리즘
- react
- 로딩 후 실행
- 부트캠프항해
- 항해99솔직후기
- JavaScript
- 항해99
- 배열 중복 제거
- 자바스크립트
- 중복카테고리
Archives
- Today
- Total
공부 및 일상기록
[네트워크] 브라우저 스토리지란? (Web Storage) 본문
브라우저 저장소 (Web Storage)는 HTML5 부터 추가된 저장소로 쿠키와 비슷한 기능이다.
쿠키
쿠키란 웹 사이트에 의해 유저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서버와 데이터를 공유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데이터의 유효기간 지정이 가능하다. 장점으로는 대부분 브라우저가 지원을 하고 단점으로는 4KB의 작은 데이터 저장 제한으로 서버에 매 HTTP 요청으로 데이터 전달 낭비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예시로는 팝업창 다시보지 않기, 아이디 비밀번호 기억하기 등이 있다.
로컬스토리지
가볍지만 기능이 많지 않고 단순히 key : value 를 String 타입으로 저장하는 기능만 있다. 최대 저장용량은 5~10MB로 제한하며 간단한 텍스트만 담을 수 있지만 만료기한 없이 저장이 가능하여 자동로그인에 사용된다.
세션스토리지
로컬스토리지와 달리 만료기한이 있어 브라우저를 종료하거나 새탭을 열 때, 데이터가 초기화 된다. 하지만 같은 탭에서 새로고침시에는 데이터가 유지된다. 즉 로컬 스토리지와 세션 스토리지의 차이는 영구성이다. 자동 임시저장 용도로 쓰이는데 예를들어 입력폼 정보저장, 비로그인 장바구니, 글쓰기 도중 내용 복구하기 등이 있다. 사용법은 로컬 스토리지와 동일하다.
'개발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http의 GET, POST 비교 (0) | 2023.01.09 |
---|---|
[네트워크] http와 https 의 차이점 (0) | 2023.01.09 |
[네트워크] 세션과 쿠키 (0) | 2023.01.09 |
[네트워크] 패스워드의 전송, 보관 (0) | 2023.01.09 |
[네트워크] CORS란 무엇이고 해결 방법은 무엇인가? (0) | 2023.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