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실전프로젝트
- JavaScript
- 항해99후기
- 탐욕알고리즘
- 서버 컴포넌트
- 카테고리필터
- 항해99
- 동전 0
- 그리디
- jQuery
- 날씨 api
- react
- 숫자를 별점으로
- db수정
- 알고리즘
- 항해99솔직후기
- 백준
- 프로그래머스
- 클라이언트 컴포넌트
- NextJS v13
- 부트캠프항해
- greedy
- 로딩 후 실행
- 항해99추천
- 배열 메소드
- 자바스크립트
- 배열 중복 제거
- server component
- 중복카테고리
- 중복선택
- Today
- Total
공부 및 일상기록
[네트워크] 웹 프로토콜 본문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웹서버에서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하나의 규칙으로써 4가지 요청 형식이 존재한다.
GET: 문서를 요청, 클라이언트에 상태정보와 복제된 문서를 보냄을써 응답을 함
HEAD : 상태정보를 요청, GET과 동일한 형태로 응답하지만 문서를 복제하지 않는다.
POST : 데이터를 서버로 송신, 서버는 해당 데이터를 특정 아이템에 덧붙인다. (생성)
PUT : 데이터를 서버로 송신, 서버가 특정 아이템을 완전히 대체한다.
HTTP는 요청과 응답으로 이루어져 있다.
IP / MAC / ARP
우리가 많이 알고있는 IP (Internet Protocol)는 각각의 패킷을 IP주소와 MAC주소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IP주소 : 각 노드에 부여된 주소를 가르킨다.
MAC주소 : 각 네트워크 카드에 할당된 고유의 주소를 말한다.
ARP : 유동적인 IP주소를 고유주소인 MAC주소로 변환하여 목적지를 찾아간다.
TCP / UDP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전송 제어 프로토콜이다.
-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달한다.
- 데이터를 순서대로 전달한다.
- 데이터를 에러없이 교환할 수 있도록 전달한다.
UDP(User datagram protocol)
- TCP와 대조되는 전송프로토콜로 데이터 전달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하지 않지만 TCP보다 속도가 빠르다.
- 스트리밍같은 안정성보다 속도가 더 중요한 곳에서 쓰인다.
DNS (Domain Name Server)
숫자로 되어있는 IP주소를 우리가 기억하기 쉽게 문자로 매핑해주는 시스템을 말한다.
DNS는 도메인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해주기 때문에 유저들은 naver.com이나 google.com과 같이 입력만 해도 해당 사이트에 접근할 수 있다.
'개발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토큰기반 인증방식 (0) | 2023.01.13 |
---|---|
[네트워크] JWT토큰을 쿠키에 저장했을 때 취약점 (0) | 2023.01.12 |
[네트워크] TCP 3 Way HandShaking (0) | 2023.01.09 |
[네트워크] TCP와 UDP (0) | 2023.01.09 |
[네트워크] HTTPS의 동작 방식 (0) | 2023.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