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및 일상기록

[React] setState는 왜 비동기 일까? 본문

개발/React

[React] setState는 왜 비동기 일까?

낚시하고싶어요 2023. 1. 12. 19:43

리액트의 state는 컴포넌트 내부의 변경 가능한 값이다.

 

그렇다면 왜 일반적인 변수를 두고 state를 사용하여 값을 관리할까?

 

그 이유는 state가 갖는 특성 때문이다. 값이 변경되면 리렌더링되는 특성 말이다.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const Test = () => {
  const [cnt, setCnt] = useState(0);
const addCnt = () => {
   setCnt( cnt+1 );
   console.log("카운트 : ",cnt)
}
return(
    <div>
       <h1>카운트:{cnt}</h1>
       <button onClick={addCnt}>add</button>
    </div>
  )
}
export default Test

해당 코드는 add버튼을 누르면 cnt가 1씩 증가하는 카운터이다.

해당 버튼을 눌러보면 약간의 특이점을 발견 할 수 있다.

콘솔과 렌더링된 화면의 cnt값이 다르다?

add버튼을 누르면 화면에서 카운트가 1씩 잘 증가하지만 콘솔에 찍히는 값은 한박자 느린것을 볼 수 있다.

바로 setState의 비동기 특성 때문이다. 해당 addCnt함수 내에서 발생한 로직을 일괄처리 하기 때문에 setState가 먼저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서 console이 먼저 찍힌 후 함수가 종료되면 state가 변경되어 화면은 리렌더링이 되는 것이다.

이 뿐만 아니라 해당 이벤트핸들러 내에 setState(cnt+1)을 여러번 써놓아도 add버튼을 누르면 +1만 증가하게 된다. 함수 내의 cnt는 0이고 state가 변경이 되기 이전이니 여러번을 하여도 모두 0+1 인것이다.

만약 여러번의 setState를 만들고 싶다면 setState(prev=>prev+1) 이런식으로 여러번 작성해야 할것이다.

 

setState는 비동기적으로 동작하고 하나의 이벤트 핸들러 함수 내의 로직을 일괄처리(batch) 하여 한번에 렌더링 한다. 그 이유는 리렌더링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이다.